<특별기획> 부가가치 높이는 동물혈액자원화사업 <下>갈길 바쁜 한국의 혈액 자원화 국내업체 대부분 비료용 생산 사료관리법 등 제도정비 산학연계 지원 필요
동물혈액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이 식품, 사료, 의약품 등으로 다양하게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동물혈액의 대부분을 쪄서 비료용으로 사용하고 있거나 순대 등 일부 식용에 사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도축장에서 발생되는 혈액의 상당량이 폐기처리되는 실정이어서 동물혈액 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개선 등 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 동물성 폐기물 해양투기 금지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오염 방지를 위해 1972년 채택, 1975년 발효된 런던협약에 우리나라는 1992년 가입, 2002년부터 폐기물 종류에 따라 단계적으로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폐수·폐수오니 등 산업폐기물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이로 인해 환경비용이 상승, 축산물 처리과정 중 발생되는 동물성 폐기물의 처리 역시 갈수록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국내 도축장에서 발생되는 동물혈액은 고농도 유기물 부하로 인한 처리 기술력 부족, 축산폐수처리장의 처리 효율의 한계에 따른 경제적 부담, 고농도 영양 염류와 색도물질 제거 어려움, 퇴비화와 저장액비화 등 자원재활용 방법의 한계 및 오염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 국내 동물혈액 대부분 비료생산 머물러 ‘동물혈액 자원화 시설사업 마스터 플랜 수립 계획 연구’결과를 발표한 최농훈 건국대 교수에 따르면 국내 동물혈액 제품의 수출은 베트남, 프랑스, 중국 등을 대상으로 간헐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반면 중국, 뉴질랜드,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물혈액 관련 특허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동물혈액 자원화 기업 11곳을 분석한 결과에선 대부분이 비료 생산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덴마크의 경우 효율적 물류 시스템을 통해 도축장에서 24시간내 수집한 깨끗한 돼지 혈액을 원료로 소화율이 높은 식용 플라즈마 단백질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며 “국내는 안정적 혈액 수급을 위한 보관시설을 구축하고 비료 및 사료, 식용, 의약품으로 단계적이고 다양한 혈액 활용 제품 개발을 위한 산학연계 지원이 필요하며 위생적인 혈액 재취시설 확보 방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법·제도 정비도 고려해야 특히 동물혈액 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등 동물혈액 자원화 사업 추진을 위해선 동물혈액의 전혈처리 사료화와 관련, 동물혈액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제품에 혈구단백의 추가가 필요하고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사료관리법, 가축전염병예방법 등 관련 법과 제도를 검토하고 정비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끝> <인터뷰> 이정희 한국축산물처리협회 동물혈액 자원화 사업 TF팀장 “동물혈액 자원화 시설 구축과 운영은 폐자원을 이용해 부가가치를 내는 것은 물론 환경 보존 등을 위해서도 무조건 해야하는 사업입니다. 국가적으로 플러스 요인이 되고 국민이 이득을 볼 수 있는 사업이지요.” 한국축산물처리협회의 부회장 겸 동물혈액 자원화 사업 TF를 맡고 있는 이정희 팀장은 동물혈액 자원화 시설 구축 등과 관련한 당위성을 이렇게 밝혔다. 그는 “해마다 미국에서 동물혈액을 활용한 자돈 사료를 200~250억원 정도씩 수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 생산된다면 그 양을 모두 충족하는 것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품질만 제대로 확보되면 수입을 대체하고 환경 오염을 막는데 큰 효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팀장은 시설 운영자금 확보와 관련해 “협회 회원사들이 계좌당 100만원씩으로 모두 참여하는 조합의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기본적인 운영자금 외에 토지 매입비까지 포함하면 지분구조를 달리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시제품 생산까지는 시행착오를 겪을 것으로 예상돼 운영부문에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6년 4월 18일 - 농수축산신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