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돈협회와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가 23일 서울 서초구 제2축산회관에서 ‘돼지 도체 등급별 정산 전면 확대 시행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2015년 7월 두 단체가 ‘돼지가격 정산기준 등급제 전환 협약’을 체결한 지 33개월 만에 다시 공식적으로 등급제 도입을 천명한 셈이다.
◆공동선언 배경은=2017년 12월부터 돼지 도체 등급별 정산, 일명 ‘탕박등급제’ 도입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박피 도축이 중단되면서 탕박 돼지 거래가 일반화된 만큼,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등급 정산을 전면적으로 도입하자는 움직임이었다.
특히 육류유통수출협회는 올 2월 열린 정기총회에서 1분기 안에 모든 회원사에 등급별 정산방식이 정착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두 협회가 모두 등급제 전면 도입을 주창하고 있음에도 탕박등급제는 좀처럼 확산되지 않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2일 기준 농가와 직접 거래하는 육가공업체 81곳 중 등급제를 도입한 곳은 여전히 20~30%에 불과하다. 1월초 16곳(19.8%)이 등급정산을 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등급제 도입이 부진한 주된 원인으로는 농가와 육가공업계의 ‘눈치 보기’가 꼽힌다. 아직 절대다수가 지급률제를 고수하고 있는 만큼 ‘먼저 나서기 싫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는 것이다.
또 도축비 부담이나 등급기준 조정 등을 두고 정산방식 변경의 유불리를 따지는 것 역시 걸림돌이 되고 있다. 당초 육류유통수출협회는 정산방식 변경 때 거래 대상이 생체에서 지육으로 변경되는 만큼 도축비는 농가가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돈협회는 농가의 소득감소 등을 이유로 분담을 요구해왔다.
◆어떤 내용 담겼나=한돈협회와 육류유통수출협회는 4월2일부터 돼지 도체 성별·등급별 정산이 전국적으로 전면 확대 시행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농가나 육가공업체 등에 대한 지도·교육·홍보를 강화하고, 등급제 관련 정보교류 등을 위해 서로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소비자가 선호하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내용도 공동선언문에 담아 등급제가 돼지고기 품질향상을 위한 초석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선우 육류유통수출협회 국장은 “정산방식 변경에 따른 소득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단 산업 전체의 발전과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을 위해 등급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인식을 두 협회가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병석 한돈협회 홍보부장 역시 “거래주체가 되는 각 농가와 업체간의 세부적인 협의는 앞으로도 필요하겠지만 조속히 등급제를 도입해 산업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동선언문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경제지주,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축산물처리협회, 소비자공익네트워크 등 관련 기관·단체들도 함께 서명했다. 돼지 도체 등급별 정산이 현장에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기관·단체들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