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투자 확대·정부 지원 필요해
국내 우제류 도축장의 차단방역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업계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지원 등 정책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선일 강원대 교수는 지난 18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열린 ‘도축장 방역 개선방안 연구’결과 발표에서 “도축장 차단방역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도축장이 자체 차단방역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지만 10개소를 직접 방문 조사한 결과 도축장 경계용 울타리 설치 및 관리, 출입차량(사람) 방명록 작성, 도축장 출입구 차량 세척·소독시설 및 운용방법 등에서 전반적으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거점도축장 7곳을 포함해 전국 10개소의 도축장 현지 조사가 이뤄졌고, 도축장 출입구에 설치된 세척시설의 차량세척 능력 평가와 관련해 형광물질과 자외선등을 이용한 평가에서 10개소 모두 세척효과가 매우 미흡해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월간 평균 2508대의 차량이 드나들고 있어 모든 도축장들이 1단계, 가장 멀리 떨어진 도축장들도 3~4단계를 거치면 서로 연결되는 응집성이 매우 강한 네트워크(small-world network)를 보여 국내 1개 도축장이 질병(병원체)에 감염(오염)되면 전국적인 오염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선진국은 도축장 차단방역 점검항목에서 병원체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설과 운용상황을 평가하고 있어 농림축산식품부의 도축장 차단방역 점검 조사항목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제주도를 포함해 출하차량의 전국적인 이동이 빈번한 상황에서 도축장의 차단방역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아 농장 간 및 농장과 도축장 간 차량이동 최소화와 전자경매를 통한 생축 이동 제한, 생축이 아닌 지육 상태의 운반, 농장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도축장 이용이 요구된다”며 “또한 방역과 위생수준에 대한 평가결과 부적합 도축장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와 도축장별 도축 및 가공공정의 표준화를 통한 지육 품질의 표준화(고급화), 도축장의 차단방역 전담인력 배치 및 시설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김진갑 대한한돈협회 부회장은 “구제역을 비롯한 질병 바이러스는 언제 어디서나 올 수 있어 우리의 현실에 맞는 시스템 매뉴얼을 만들어가야 한다”면서 “농장, 도축장, 차량 등 각자 나름의 시설을 보강하고 차단방역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출하농장에서 도축장까지 평균 운송거리는 51~100km인 도축장이 22개소로 가장 많았고, 차량 이동횟수는 월 평균 113만1425건으로 나타났다. <2016년 11월 25일 - 농수축산신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