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031)축산물 소비확대 새 해법을 찾자(중)불합리한 유통비용 줄이자-유통거품, 협동조합형 패커로 확 빼야(농민신문사)

  • facebook
  • twitter
  • naverblog
공고
작성일 2012.10.31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소·돼지고기값 40% 이상 차지, 대부분 소매단계서 유통비 발생

포토뉴스

 “방송이나 신문을 보면 산지 축산물값이 폭락했다고 아우성인데 음식점 값은 1년 전이나 똑같잖아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왠지 우롱당하는 것 같기도 하고 억울하죠.”(소비자)

 “상식적으로 산지값이 절반가량 내렸다면 소비자 가격도 어느 정도 내려가야 하는 것 아닙니까. 그래야 소비가 늘어 값이 회복되고 농민들 피해도 줄일 수 있죠.”(축산농민)

 축산물 판매가격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는 소비자와 축산농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축산물 유통구조가 또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지난해를 기준으로 조사해 발표한 쇠고기의 유통실태를 보면 유통비용률이 무려 42.2%나 됐다. 이는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한우를 구입할 때 1만원을 지불했다고 가정하면 농가에게 돌아간 몫이 5,800원이고 나머지 4,200원이 유통비용이라는 얘기다. 유통비용에는 도축비·등급판정수수료·냉장운송비를 비롯해 유통업자의 냉장유통비·감가상각비·점포유지비(월세)·인건비·이윤 등이 포함돼 있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농가 출하단계에서 2.8%, 도매단계에서 1.6%에 불과한 반면 유통비용의 37.8%가 소매단계에서 발생했다.

 결과적으로 생산농가와 도매유통 과정보다는 소매유통과정에서 유통비용이 많이 붙어 그 피해가 소비자와 생산농가에 전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돼지고기와 닭고기 등도 한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소비자값을 내리려면 유통비용을 줄이는 문제가 시급하지만 유통비용은 수년째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aT의 조사결과 한우 유통비용률은 최근 5년 동안 40%에 달했고, 돼지고기도 43%로 나타났다.

 축산관련 전문가들은 축산물 유통구조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등 복잡하게 얽혀 있어 매 단계를 거칠 때마다 유통비용이 붙는 게 사실이라며 불필요한 단계부터 줄여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 축산전문가는 “한우 출하농가의 상당수가 아직도 수집상인을 통한 문전거래로 출하하고 있다는 점은 농가 스스로 불필요한 단계를 만들고 있는 셈”이라면서 “문전거래를 하지 않고 직접 가축시장에 출하하거나 생산자단체를 통해 도매시장에 상장하면 유통단계를 줄여 수집상에게 돌아가는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농협이 추진키로 한 축산물 대형 패커(생산·가공·판매과정에 대한 일관 처리) 제도에 관심을 가져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축산물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수년 전부터 축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직거래를 활성화한다면서도 대부분 축제나 명절, 가격 폭락 등이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추진하는 등 미봉책에 그쳐 왔다”며 “협동조합형 패커를 육성하거나 일반 정육점 등 소매점과 가격 및 품질경쟁을 통해 가격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생산자단체의 소비지 직영형 정육점 확대 등에 속도를 내면 유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축산물은 그 특성상 유통비용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축산물은 위생과 안전성이 강조되는 만큼 도축 과정에서 보다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하고, 운송과정에서 냉장 유통을 하는 것 자체가 비용 투입을 요구해 이런 과정들이 모두 유통비용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유기축산물이나 무항생제 축산물 역시 인증을 받기까지 소요되는 경비가 고스란히 유통비용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 축산학계 관계자는 “위생과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선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육겹살’ ‘A+ 등심’ 등의 방법으로 교묘하게 부위 명칭을 바꿔 소매가격을 올려받는 행위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여론을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종편집일 : 2012-10-31 - 농민신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