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산업 살리는 방역 돼야
행정구역별 이동제한 ‘효과’…다양한 요인 사전검토를 자극적 보도 방역에 악영향…정확한 소통체계 필요해
도드람동물병원 정현규 원장은 현장을 잘 아는 수의사로 통하며 사실상 정부의 방역정책이 결정되는 가축방역심의회에 참여해 왔다. 여기에다 양돈수의사를 대표하는 한국양돈수의사회의 회장이자, 한수양돈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소통’에 있어서 만큼은 ‘사통팔달’ 로서, 정부와 양축현장, 수의업계, 유관산업계의 입장을 한몸에 담고 있는 셈이다. 이런 그가 바라본 우리 구제역 방역의 현주소는 어딜까. 정현규 원장은 “분명한 것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양돈산업을 살리는 게 방역의 최종 목적이 돼야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전제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구제역 방역과 관련 “주객이 전도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에 일정부분 공감을 표출한 것이다. 정현규 원장은 먼저 논란이 되고 있는 행정구역별 이동제한 조치에 대해 “당시에는 시, 도 단위의 이동제한 조치가 바람직했고, 효과도 있었다는 판단”이라면서도 “다만 각 지자체별 방역대책의 차이, 자연경계 등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사전 검토와 과학적인 접근이 평소에 이뤄짐으로써 비상 상황에 적용을 하더라도 혼란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시, 도가 다른 인접시군의 경우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20km 우제류 반출제한구역 설정이 이뤄졌던 일본의 사례를 검토해 볼만 하다고 덧붙였다. 정 원장은 이어 “백신의 원활한 수급, 새로운 바이러스 유입시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국내 구제역백신 공장 설립과 자체기술 보유가 절실하다”고 전제, “하지만 확실한 시장이 보장되지 않는상황에서 수백억원의 재원이 필요한 백신공장 설립에 뛰어들 민간기업은 없을 것이다. 정부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내 백신개발과 세계적 메이커와 제휴 등 2가지를 병행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악성가축질병 발생시 마다 지적돼온 현장의 방역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공수의사 확대와 처우개선. 그리고 지역조직을 갖춘 농축협을 보다 더 활용할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여기에 일정규모 이상의 도축장에 대해서는 수의사 채용을 의무화, 도축장 관련 국가적 방역 업무가 효과적으로 실행될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는 생각도 잊지 않았다. 정현규 원장은 그러나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로 정부와 현장, 언론, 국민 등 각 부문간 정확한 소통 시스템의 구축을 꼽았다. “또다시 제기된 물백신 논란, 살처분과 매몰, 역학정보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언론을 통해 자극적으로 보도 되면서 국민적인 불신과 현장의 오해를 불러왔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합리적인 방역대책 수립에도 악영향을 미쳤다”는 그는 “현장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민간 전문가를 정부의 상황실에 합류. 언론과 농가에 대한 소통의 창구역할을 맡기는 등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7년 4월 14일 - 축산신문 기사>
|